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동로마 제국
(r2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국호 표기법 === '''Βασιλεία τῶν Ῥωμαίων'''(로마 제국)이라는 호칭을 [[고전 그리스어]]로 발음하면 '바실레이아 톤 로마이온' 정도 되지만, 중세 그리스어는 이미 상당한 복모음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현대 [[그리스어]]와 거의 같이 발음된다. 사실 고전 그리스어가 쓰이던 시절과 동로마 제국은 이미 1000년 가까이 갭이 난다. 라틴어만 해도 원수정 당시 라틴어와 동서로마 분열기의 라틴어가 상당히 많이 달라져 있는 모습이 보인다. 특히 'Β' 가 'v' 자음으로 바뀌게 된 것도 기원 후의 일이다. 중세 그리스어식 발음은 '''바실리아 톤 로메온'''.[* '레이', '마이' 내의 이중모음이 '리' '메' 내의 단모음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이러한 발음 변화는 이미 코이네에서도 나타나는데, 'Βασιλεία τῶν Ῥωμαίων는 [[코이네 그리스어]]로 읽으면 (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) '바실리아 톤 로마이온' 또는 '바실리아 톤 로메온' 이다.]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는 동로마 시대 인물들의 호칭에는 이와 같은 그리스어의 변화 양상이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고, [[라틴어]] 표기와 혼재되기 때문에 (특히 한국외대 그리스-발칸어학과 교수들을 중심으로) 수정이 필요하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.[* 언제부터 라틴어식이 아니라 그리스어식으로 표기를 해야 할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. 예를 들어 [[유스티니아누스 1세]] 정도면 라틴어로 표기해도 크게 이견은 없을 것이다.] 당시의 발음을 살리려면 코이네 그리스어 '헤라클레이오스'는 중세 그리스어 '[[이라클리오스]]'가 된다. 그리고 로마의 마지막 황제는 라틴어인 '콘스탄티누스 11세 (드라가세스)'보다는 '[[콘스탄티노스 11세]] (드라가시스) 팔레올로고스'가 될 것이다. 물론 당시 동로마인 역시 (이라클리오스 황제 이후에도) 서방 국가들을 상대로는 황제의 명칭을 여전히 라틴어로 기록했으니 어느 쪽 독법을 따르는지는 상관 없다. '''다만 코이네만 괴이하게 고집했던 한때의 풍토는 문제가 있었다.''' 예전의 서구에도 이런 풍조가 있어서 워랜 트레드골드 교수가 자신의 저서에서 일부러 한 단원을 할애해서 집중적으로 까댔을 정도.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꼽자면, 아무래도 서구인이 그리스어 문헌을 접하는 주된 수단이 고전기와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 학자들의 작품과 [[성경]]이고, 따라서 그리스어에 대한 흥미 역시도 압도적으로 고전어와[* [[플라톤]], [[아리스토텔레스]], [[투키디데스]] 등을 해석하기 위해서다.] 코이네에[* [[성경]], [[아르키메데스]], [[스토아]] 학파 등을 해석하기 위해서다.] 몰려있기 때문일 것이다.[* 이러한 경향은 [[그리스 독립 전쟁]] 시기에도 관찰되는데, 고대 그리스뽕을 맞고 그리스인들을 도우러 온 서유럽 지식인이 [[그리스어]](고전 그리스어)로 연설하니 가만히 듣던 농민 출신 그리스인 병사들이 그거 어느나라 말이냐며 물어본 이야기가 있다.] 결국 익숙하고 편한 표기와 발음으로 읽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애당초 옛말을 배우는 건 회화용이 아니라 거의가 독해 용도이기에, 대학 전공 수준으로 배우더라도 '해석'이 목표이지 '발음'은 목표가 아니다.[* 가령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사용한 성서 희랍어 교재{{{-2 (James Swetnam S.J. 지음, 박찬용 옮김, "신약성서 희랍어 원문을 읽기 위한 성서 희랍어 문법")}}}에서는 희랍어 악센트 발음법을 이렇게 설명한다: '''"실제에 있어 악센트를 붙이는 규칙은 매우 까다로운 일이기 때문에 신약성서 희랍어를 읽으면서 기왕에 악센트가 붙어있는 단어들을 놓고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만 올바로 식별할 수 있으면 족하다."''' 옛 희랍어 발음을 재현하고자 한다면 당연 악센트도 신경 써야 하지만, 호메로스의 운율을 연구하는 학자라면 모를까, 대부분의 학습자에게 '정확한 옛 발음'은 큰 관심사가 아니다.] 그렇기에 경제성과 효율성의 측면에서 고전이나 코이네 발음이 통용되는 건 충분히 납득 가능한 일이다.[* 코이네 표기를 변호하자면, 다소 어쩔 수 없는 면이 있다. 간단한 예로, 2004년 하계 올림픽을 현대 그리스어 반영한답시고 "아시나 올림픽"이라고 하면 몇이나 알아듣겠는가? 그리고 16세기 발음을 반영하겠다면서 李舜臣을 '니슌신'이라 발음하는 한국인이 몇이나 되겠는가? [[라틴어]]만 하더라도 시대별 발음 변화가 무시되고 그냥 고전 발음이 통용되는 실정이다. 학습자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든 경제성의 차원에서든 발음 변화를 100% 반영하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다.] "비잔티움 제국"이라는 용어는 마치 한국사에서 [[신라]]와 [[통일신라]]를 676년 기준으로 구분하듯이, 연속성 있는 한 나라를 편하게 구분하기 위해 관습화된 것이다. 이 나라 사람들이 자국을 부르던 이름은 로마니아(로마국)였다. 비잔티움(비잔티온)이라는 국호는 당대인들에게 쓰이지 않았다는 오해가 많으나, 이미 7세기의 황제 칙령에서도 국호의 용례로 쓰인 것이 확인된다.[[https://m.blog.naver.com/sky2k/222901246843|#]] 곧, 비잔티움이라는 명칭 그 자체는 빈도에서는 로마니아에 밀릴 수 있어도, 분명히 당대인들이 공적으로 사용한 명칭이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